맨위로가기

말레이시아의 총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말레이시아의 총리는 말레이시아 연방 헌법에 따라 국왕이 임명하며, 하원 의원 과반수의 신임을 얻을 수 있는 말레이시아 시민이어야 한다. 총리는 내각을 주재하고, 국왕에게 연방 장관 임명 등을 조언하며, 헌법에 따라 행정 권한을 행사한다. 총리는 하원에서 예산안 부결 또는 불신임 투표를 받거나, 사임, 선거 패배, 사망 등의 경우 직을 잃을 수 있다. 1957년 독립 이후 국민 전선(Barisan Nasional)의 통일 말레이 국민 조직(UMNO) 당수가 총리를 맡아왔으나, 2018년에 정권 교체가 일어났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말레이시아의 총리 - 후세인 온
    후세인 온은 1976년부터 1981년까지 말레이시아의 제3대 총리를 역임했으며, 국민 통합과 경제 발전에 힘썼다.
  • 말레이시아의 총리 - 마하티르 빈 모하맛
    말레이시아의 정치인이자 의사인 마하티르 빈 모하맛은 UMNO에서 활동하며 두 차례에 걸쳐 총리를 역임, '향동학습정책'과 '비전 2020' 등으로 말레이시아의 경제 성장과 현대화를 이끌었지만 권위주의적인 통치 방식에 대한 비판도 받았다.
말레이시아의 총리
직책 개요
직책말레이시아의 총리
로마자 표기Perdana Menteri Malaysia
상징말레이시아의 국장
총리실 휘장총리실 문장
현직안와르 이브라힘
취임일2022년 11월 24일
소속 부서말레이시아 정부
총리실
직위 종류정부수반
보고 대상의회
관저스리 페르다나, 푸트라자야
사무실페르다나 푸트라, 푸트라자야
임명권자양 디-페르투안 아공
임기5년, 연임 가능
설립일1957년 8월 31일
초대 총리툰쿠 압둘 라만
부총리말레이시아 부총리
월급RM22,826.65/미화 5,106달러
웹사이트말레이시아 총리실
이미지
안와르 이브라힘 총리
호칭
공식양 아마트 베르호르마트
약식총리
코먼웰스 내오른경
외교각하

2. 임명

푸트라자야 페르다나 푸트라에 있는 총리실


연방 헌법에 따르면, 국왕은 하원 의원 중 과반수의 신임을 얻을 수 있다고 판단되는 사람을 내각을 주재할 총리로 임명한다. 총리는 말레이시아 시민이어야 하지만, 귀화나 등록을 통해 시민권을 얻은 사람은 안 된다.

총리와 내각 장관은 직무를 수행하기 전에 국왕 앞에서 취임 선서, 충성 선서 및 기밀 유지 선서를 해야 한다.

정부가 하원에서 예산 법안을 통과시키지 못하거나 하원에서 불신임 투표가 통과되면 총리는 즉시 사임해야 한다. 다른 장관들은 국왕이 총리의 조언에 따라 임명을 철회하지 않는 한 직무를 계속 수행하거나, 스스로 사임할 수 있다.

총리가 사임, 선거 패배, 사망하는 경우, 국왕은 일반적으로 집권당 또는 연합의 새로운 지도자를 새 총리로 임명한다.

말레이시아는 단순 다수결 투표 제도를 사용하며, 하원에서 112석을 얻는 정당 또는 연합이 정부를 이끌게 된다. 1957년 독립 이후 2018년까지 여당 연합인 국민 전선의 통일 말레이 국민 조직 당수가 총리를 맡아왔다.

2. 1. 권한

연방 헌법에 따르면, 국왕은 내각을 이끌 총리를 임명한다. 총리는 하원 의원 중 국왕이 보기에 하원 과반수의 신임을 얻을 수 있는 사람이어야 한다. 총리는 말레이시아 시민이어야 하지만, 귀화나 등록으로 시민권을 얻은 사람은 안 된다. 국왕은 총리의 조언에 따라 하원 또는 상원에서 다른 장관을 임명한다.[1]

총리와 내각 장관은 직무를 수행하기 전에 국왕 앞에서 취임 선서, 충성 선서 및 기밀 유지 선서를 해야 한다. 내각은 말레이시아 의회에 공동으로 책임을 지며, 내각 구성원은 영리 직책을 맡거나 이해 상충을 일으킬 수 있는 무역, 사업, 전문직에 종사할 수 없다. 총리실은 총리가 직무와 권한을 행사하는 기관 및 부처이다.[1]

정부가 하원에서 예산 법안을 통과시키지 못하거나, 하원이 정부에 대한 불신임 투표를 통과시키면 총리는 즉시 사임해야 한다. 국왕은 상황에 따라 후임 총리를 선택한다. 다른 장관들은 국왕의 재량에 따라 직무를 계속 수행하며, 총리의 조언에 따라 국왕이 장관 임명을 철회하지 않는 한, 어떤 장관이라도 직에서 사임할 수 있다.[1]

총리의 소속 정당은 하원에서 다수를 차지하며, 말레이시아 정치에서 당 기강은 매우 강력하기 때문에 정부 법안의 하원 통과는 대부분 형식적인 절차이다.[1]

헌법에 따라, 총리의 역할에는 양 디-페르투안 아공에게 다음과 같은 사항을 조언하는 것이 포함된다.[1]

  • 연방 장관 (내각 정식 구성원) 임명
  • 연방 차관, 의회 서기 (내각의 비정식 구성원) 임명
  • 상원 의원 70명 중 44명 임명
  • 하원 회의 소집 및 휴회
  • 고등 법원 판사 (고등 법원, 항소 법원 및 연방 법원) 임명
  • 검찰총장 및 감사원장 임명
  • 사법 및 법률 서비스 위원회, 선거 관리 위원회, 경찰청 위원회, 교육 서비스 위원회, 국가 재정 위원회 및 군사 위원회의 의장 및 위원 임명


헌법 제39조에 따라 행정 권한은 양 디-페르투안 아궁에게 부여된다. 그러나 제40조 (1)항은 대부분의 경우, 양 디-페르투안 아궁은 내각 또는 내각의 일반적인 권한을 행사하는 장관의 조언에 따라 권한을 행사해야 한다고 명시한다. 따라서 실제 통치 권한은 총리와 내각에게 부여된다.[1]

2. 2. 총리 권한의 제약

연방 헌법에 따르면, 국왕은 내각을 이끌 총리를 임명해야 한다. 총리는 하원 의원 중 과반수의 신임을 얻은 사람이어야 하며, 말레이시아 시민이어야 한다. 총리는 국왕의 조언에 따라 다른 장관을 임명한다.[1]

총리와 내각 장관은 국왕 앞에서 취임 선서와 충성 선서, 기밀 유지 선서를 해야 한다. 내각은 말레이시아 의회에 공동 책임을 지며, 내각 구성원은 영리 직책을 맡거나 이해 상충을 일으킬 수 있는 일에 종사할 수 없다.[1]

정부가 하원에서 예산 법안을 통과시키지 못하거나 불신임 투표를 통과시키는 경우, 총리는 즉시 사임해야 한다. 국왕은 후임 총리를 선택한다. 다른 장관들은 총리의 조언에 따라 국왕이 임명을 철회하지 않는 한, 직무를 계속 수행하거나 사임할 수 있다.[1]

당 대표에서 해임되거나 하원에서 불신임 투표에서 패배한 총리는 하원의 새로운 선거를 조언하거나 사임해야 한다. 예산안 부결 또는 중요한 정책 관련 법안 통과 실패는 정부의 사임 또는 의회 해산을 요구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총리의 소속 정당은 하원에서 다수를 차지하며, 당 기강이 매우 강력하기 때문에 정부 법안의 하원 통과는 대부분 형식적인 절차이다.

2. 3. 임시 총리 및 과도 정부

말레이시아는 단순 다수결 투표 제도를 사용하며, 하원에서 112석을 얻는 정당 또는 연합이 정부를 이끌게 된다. 때때로 총리는 업무상 해외로 출국해야 하며, 그 기간 동안 부총리가 그 자리를 대신하도록 임명된다. 제트 여객기가 등장하기 전에는 이러한 부재가 장기간 이어질 수 있었다. 그러나 말레이시아 국왕인 양 디-퍼르투안 아궁이 갑작스러운 사임이나 총리의 사망으로 인해 총리직이 공석으로 남아 있을 때, 이 직책을 완전히 결정할 수 있다.

말레이시아 헌법 제55조 3항에 따르면, 하원은 총리의 자문에 따라 국왕인 양 디-페르투안 아궁이 조기에 해산하지 않는 한, 첫 회의일로부터 5년간 유지된다. 헌법 제55조 4항은 해산일로부터 총선거를 60일 연기하는 것을 허용하며, 의회는 해산일로부터 120일 이내에 소집되어야 한다. 관례적으로, 한 의회 해산과 다음 의회 소집 사이에는 총리와 내각이 과도 정부 자격으로 직무를 수행한다.

3. 역대 총리 목록

GE
임기
이름
(헌법상)
(출생-사망)
사진임기연합칭호
취임일퇴임일재직일수
001툰쿠 압둘 라만
(1903–1990)
1957년 8월 31일1970년 9월 22일rowspan="4" |UMNOAP독립의 아버지
(Bapa Kemerdekaan)

말레이시아의 아버지
(Bapa Malaysia)
01
02
03
2압둘 라자크 후세인
(1922–1976)
1970년 9월 22일1976년 1월 14일rowspan="2" |UMNOAP개발의 아버지
(Bapa Pembangunan)
04BN
3후세인 온
(1922–1990)
1976년 1월 14일1981년 7월 16일rowspan="2" |UMNOBNstyle="text-align:center;" rowspan="2"|
05
4마하티르 모하마드
(1925-)
1981년 7월 16일2003년 10월 31일rowspan="6" |UMNOBN현대화의 아버지
(Bapa Pemodenan)
06
07
08
09
10
5압둘라 아마드 바다위
(1939-)
2003년 10월 31일2009년 4월 3일rowspan="3" |UMNOBN인적 자원 개발의 아버지
(Bapa Pembangunan Modal Insan)
11
12
6나집 라작
(1953-)
2009년 4월 3일2018년 5월 9일rowspan="2" |UMNOBNstyle="text-align:center;" rowspan="2"|
13
147마하티르 빈 모하맛
(1925-)
2018년 5월 10일2020년 3월 1일rowspan="1" |PPBMPHstyle="text-align:center;" rowspan="1"|
158무히딘 야신
(1947-)
2020년 3월 1일2021년 8월 21일rowspan="1" |PPBMPNstyle="text-align:center;" rowspan="1"|
169이스마일 사브리 야콥
(1960-)
2021년 8월 21일2022년 11월 24일rowspan="1" |UMNOBNstyle="text-align:center;" rowspan="1"|
10안와르 이브라힘
(1947-)
2022년 11월 24일(현직)rowspan="1" |PKRPHstyle="text-align:center;" rowspan="1"|


3. 1. 역대 총리 목록 해설

GE
임기
이름
(헌법상)
(출생-사망)
사진임기연합칭호
취임일퇴임일재직일수
001툰쿠 압둘 라만
(1903–1990)
1957년 8월 31일1959년 6월 27일rowspan="4" |UMNOAP독립의 아버지
(Bapa Kemerdekaan)

말레이시아의 아버지
(Bapa Malaysia)
011959년 8월 19일1964년 3월 1일
021964년 3월 21일1969년 3월 20일
031969년 5월 10일1970년 9월 22일
2압둘 라자크 후세인
(1922–1976)
1970년 9월 22일1974년 7월 31일rowspan="2" |UMNOAP개발의 아버지
(Bapa Pembangunan)
041974년 8월 24일1976년 1월 14일BN
3후세인 온
(1922–1990)
1976년 1월 14일1978년 6월 12일rowspan="2" |UMNOBNstyle="text-align:center;" rowspan="2"|
051978년 7월 8일1981년 7월 16일
4마하티르 모하마드
(1925-)
1981년 7월 16일1982년 3월 29일rowspan="6" |UMNOBN현대화의 아버지
(Bapa Pemodenan)
061982년 4월 22일1986년 7월 19일
071986년 8월 3일1990년 10월 4일
081990년 10월 21일1995년 4월 6일
091995년 4월 25일1999년 11월 10일
101999년 11월 29일2003년 10월 31일
5압둘라 아마드 바다위
(1939-)
2003년 10월 31일2004년 3월 2일rowspan="3" |UMNOBN인적 자원 개발의 아버지
(Bapa Pembangunan Modal Insan)
112004년 3월 21일2008년 2월 13일
122008년 3월 8일2009년 4월 3일
6나집 라작
(1953-)
2009년 4월 3일2013년 4월 3일rowspan="2" |UMNOBNstyle="text-align:center;" rowspan="2"|
132013년 5월 6일2018년 5월 9일
147마하티르 빈 모하맛
(1925-)
2018년 5월 10일2020년 3월 1일rowspan="1" |PPBMPH현대화의 아버지
(Bapa Pemodenan)
158무히딘 야신
(1947-)
2020년 3월 1일2021년 8월 21일rowspan="1" |PPBMPNstyle="text-align:center;" rowspan="1"|
169이스마일 사브리 야콥
(1960-)
2021년 8월 21일2022년 11월 24일rowspan="1" |UMNOBNstyle="text-align:center;" rowspan="1"|
10안와르 이브라힘
(1947-)
2022년 11월 24일(현직)rowspan="1" |PKRPHstyle="text-align:center;" rowspan="1"|



'''색상표''' (정치 연합/정당):

(2) (6) (2) (1)

참조

[1] 웹사이트 CPPS Policy Factsheet: Remuneration of Elected Officials in Malaysia http://cpps.org.my/i[...] Centre for Public Policy Studies 2016-05-11
[2] 웹사이트 Malaysia Gelar Pemilu Hari Ini https://www.cnnindon[...] 2022-11-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